라벨이 악의평범인 게시물 표시

악의 평범함

이미지
"아돌프 아이히만" 이 남자는 나치 독일에서 홀로코스트를 실행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입니다.  그런데 이 아이히만이라는 인물이 흥미로운 이유는, 그가 꼭 '악마' 같은 인물로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에요.  오히려 그는 평범한 직장인이었죠. 회사에서 보고서를 작성하고, 상사에게 칭찬받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, 가족을 사랑하는 평범한 남자였어요.   그런데 그가 한 일은... 음, 뭐랄까,  인류 역사상 가장 끔찍한 범죄 중 하나를 조직하고 실행한 거죠.  이 아이히만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'악의 평범성'이라는 개념을 접하게 됩니다.  이 개념은 독일의 철학자 한나 아렌트가 아이히만의 재판을 보고 느낀 바를 정리한 것인데요,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꼭 사악한 악당으로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어요.  오히려 그는 너무나도 평범했고, 자신이 하는 일이 '잘못'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았다는 거죠.  그는 그저 상사의 명령을 충실히 따를 뿐이었어요. 그런데 그 명령이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죽이라는 명령이었다는 사실은, 아이히만에게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던 것 같아요.  그런데 이 '악의 평범성'이라는 개념이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  우리 주변을 한 번 둘러보세요. 회사에서 상사의 명령을 무조건 따르는 직장인들, 정부의 정책을 비판 없이 받아들이는 시민들, 혹은 소셜 미디어에서 특정한 주장을 맹목적으로 지지하는 사람들... 이들 중 상당수는 자신이 하는 일이 '잘못'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.  아니, 오히려 자신이 하는 일이 '옳다'고 믿고 있죠.  그런데 그 '옳다'는 생각이 과연 정말로 옳은 것일까요?  예를 들어, 어떤 회사가 환경을 파괴하는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고 해봅시다.  그 회사의 직원들은 자신이 하는 일이 '잘못'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거예요.  오히려 "나는 회사를 위해 열심히 일하...